맨위로가기

이자슬라프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자슬라프 1세는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로, 키예프 대공(1054-1068, 1069, 1077-1078)이었다. 투라우 공작과 노브고로드 공작을 역임했으며, 동생들과 함께 삼두 정치를 펼쳤다. 쿠만족과의 전투 패배와 키예프 봉기로 인해 대공위를 잃고 폴란드로 망명하기도 했으나, 세 차례에 걸쳐 대공위에 올랐다. 그는 여러 차례 폐위와 복위를 겪었으며, 올레크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24년 출생 - 오조법연
    오조법연은 무자화두를 참선 공부로 전환시키고 간화선을 통해 참선 수행법을 발전시켜 한국 선불교 역사에 영향을 미쳤다.
  • 1024년 출생 - 망누스 1세 (노르웨이)
    망누스 1세는 호르파그레 가 출신으로 올라프 2세의 사생아 아들이며, 노르웨이 왕으로 재위하며 덴마크 왕위를 겸하기도 했으나 스벤 아스트리다르손의 도전을 받았고, 하랄 3세와 공동 통치하다 사망 후 '선왕'으로 불리며 노르웨이에 평화를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 1078년 사망 - 피에트로 1세 디 사보이아 백작
    피에트로 1세 디 사보이아 백작은 1057년 사보이아 백작 작위를 계승했지만 섭정인 어머니의 영향 아래 있었고, 아스티 주교와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했으며, 토리노 주교와 협정을 맺었지만 수도원 문제로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고, 아키텐 공작의 딸과 결혼했지만 아들을 얻지 못하고 동생에게 작위를 물려주었다.
  • 1078년 사망 - 툰카 마닌
  • 류리크가 - 드미트리 돈스코이
    드미트리 돈스코이는 킵차크 칸국 군대를 쿨리코보 전투에서 격파하여 '돈스코이' 칭호를 얻고 모스크바 크렘린을 건설했으며 몽골의 침입에 맞서 싸운 모스크바 대공이자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사후 정교회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류리크가 - 이반 4세
    이반 4세는 1547년부터 1584년까지 러시아를 통치한 최초의 차르로, 초기 개혁과 영토 확장에도 불구하고 오프리치니나 시행과 리보니아 전쟁 실패로 혼란과 쇠퇴를 초래했으며, 잔혹함과 권력욕으로 악명 높지만 중앙집권화와 영토 확장에 기여한 복잡적인 인물이다.
이자슬라프 1세

2. 생애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스웨덴올로프 솃코눙 왕의 딸인 잉에예르드 올로프스도테르이다. 1045년부터 1052년까지 투라우 공작, 1052년부터 1054년까지 노브고로드 공작을 역임했다.

1054년 아버지 야로슬라프 1세가 사망하면서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으며, 동생인 스뱌토슬라프 2세, 프세볼로트 1세와 함께 삼두 정치를 펼쳤다.

1068년 쿠만족의 침입으로 알타 강 전투에서 패배한 후 키예프에서 민중 봉기(1068년 키예프 봉기)가 일어나 폴로츠크 공작브세슬라프에게 대공위를 빼앗겼으나, 이후 폴란드의 지원을 받아 키예프를 탈환했다.

1073년에는 동생들과의 불화로 인해 대공위를 스뱌토슬라프 2세에게 넘겨주고 다시 폴란드로 망명했으나, 1077년 스뱌토슬라프 2세가 사망한 후 키예프로 돌아와 프세볼로트 1세와 화해하고 세 번째로 대공위에 즉위했다.

1078년 프세볼로트 1세와 함께 스뱌토슬라프 2세의 아들 올레크와 전투를 벌이던 도중에 전사했다. 그는 전투에서 사망한 유일한 키예프 대공이었다.[4]

폴란드 국왕 미에슈코 2세의 딸 게르트루드와의 사이에서 세 아들을 두었다. 폴로츠크 공작 므스티슬라프 이자슬라비치, 투로프 공작야로폴크 이자슬라비치, 그리고 후에 키예프 대공이 되는 스뱌토폴크 2세이다. 딸 에우프락시아는 폴란드 국왕 볼레스와프 2세의 아들 메치스와프와 결혼했다.

2. 1. 초기 통치 (1054년 ~ 1068년)

야로슬라프 현명공이 1054년에 사망하면서 그의 영토는 세 아들, 이자슬라프, 스뱌토슬라프, 세볼로드에게 분할되었고, 이들은 이후 20년 동안 야로슬라비치 삼두 정치를 이루어 나라를 통치했다. 이자슬라프 1세는 아버지 야로슬라프 1세가 사망하자 키예프 대공위를 계승했으며, 키예프 외에도 노브고로드, 투로프를 다스렸다.

1060년, 삼두 정치는 오구즈족을 상대로 함께 원정을 벌였다. 1065년, 사촌인 브세슬라프가 폴로츠크의 공작으로서 프스코프를 포위했지만 패배했다. 1066년–1067년 겨울에는 노브고로드를 공격했다. 당시 노브고로드의 공작은 이자슬라프의 아들 므스티슬라프였는데, 그는 키예프로 도망쳤다. 이에 삼두정치는 브세슬라프를 제거하기 위해 진격했다. 그들의 첫 번째 정차지는 민스크였는데, 그곳 사람들은 스스로 도시에 갇혔다. 그러나 삼두정치는 민스크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고, 네미가 강에서 브세슬라프와 만났다. 1067년 3월 3일, 네미가 강 전투에서 두 군대가 맞붙었고, 결국 삼두정치가 승리하여 브세슬라프는 도망쳤다. 6월 10일, 두 세력 사이에 공식적인 휴전이 있었고, 이자슬라프는 브세슬라프를 자신의 진영에 초대했지만 그것은 함정이었다. 브세슬라프와 그의 두 아들은 체포되어 키예프로 끌려갔다.

1068년, 쿠만족이 알타 강에서 삼두정치를 격파하여 키예프를 포함한 일부 주요 도시가 위험에 빠졌다. 이자슬라프와 브세볼로드는 키예프로 돌아왔다. 9월 15일, 베체가 키예프에서 열렸고, 이자슬라프에게 침략자들과 싸울 것을 촉구했지만, 그는 협상조차 거부했다. 키예프 시민들은 대중 봉기를 일으켜 브세슬라프를 감금에서 풀어주고 새로운 공작으로 옹립했다. 이자슬라프는 볼레스와프 2세로부터 지원을 받기 위해 폴란드로 도망쳐 도시를 되찾기 위해 진격했다. 그러나 브세슬라프는 키예프를 통치하고 싶어하지 않았고, 밤에 도망쳐 도시 사람들에게 이자슬라프와 그의 폴란드 동맹에 맞설 지도자를 남기지 않았다. 이자슬라프는 1069년 5월 2일까지 키예프로 돌아왔다.

2. 2. 키예프 봉기 (1068년)

1068년, 쿠만족이 알타 강에서 삼두정치를 격파하면서 키예프를 포함한 일부 주요 도시들이 위험에 빠졌다. 스뱌토슬라프는 체르니고프로, 이자슬라프와 브세볼로드는 키예프로 돌아갔다. 9월 15일, 베체가 키예프에서 열려 이자슬라프에게 침략자들과 싸울 것을 촉구했지만, 그는 협상조차 거부했다. 키예프 시민들은 그가 그들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면 다른 공작이 그럴 수 있다고 판단하고 그를 상대로 대중 봉기를 일으켰다. 봉기의 결과 중 하나로, 키예프 시민들은 브세슬라프를 감금에서 풀어주고 새로운 공작으로 옹립했다. 이자슬라프는 볼레스와프 2세로부터 지원을 받기 위해 폴란드로 도망쳐 도시를 되찾기 위해 진격했다. 그러나 브세슬라프는 키예프를 통치하고 싶어하지 않았고, 밤에 도망쳐 도시 사람들에게 이자슬라프와 그의 폴란드 동맹에 맞설 지도자를 남기지 않았다. 스뱌토슬라프와 브세볼로드는 그에게 자제를 요청했고, 이자슬라프는 노브고로드의 전 공작인 아들 므스티슬라프를 보내 주요 인사들을 처벌했다. 이자슬라프는 1069년 5월 2일까지 키예프로 돌아왔다.[2]

2. 3. 복위와 갈등 (1069년 ~ 1073년)

이자슬라프 1세의 형제 스뱌토슬라프는 이자슬라프가 폴란드에 있는 동안 쿠만을 격파하고 그들의 지도자를 사로잡아 더 많은 권력을 얻었다. 스뱌토슬라프는 자신의 아들 글레프를 노브고로드의 새로운 공작으로 임명했다. 이자슬라프의 아들 므스티슬라프는 폴로츠크를 얻었지만, 1069년에 사망한 후 그의 형제 스뱌토폴크에게 넘어갔다. 1071년 브세슬라프가 폴로츠크를 다시 통치하면서 스뱌토폴크는 도시에서 쫓겨났고, 이자슬라프의 가족은 노브고로드를 잃고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

1072년, 삼두 정치는 보리스와 글레브의 유해를 비시호로드의 새로운 교회로 옮기는 성스러운 행사를 주재했다.

2. 4. 두 번째 폐위와 망명 (1073년 ~ 1076년)

1073년, 이자슬라프 1세는 많은 이들을 적으로 돌렸고, 결국 스뱌토슬라프와 브세볼로드는 쿠데타를 일으켜 그를 키예프에서 몰아냈다.[1] 그는 다시 폴란드로 갔지만, 이번에는 볼레스와프 2세가 뇌물만 받고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았다.[1] 1075년 1월, 이자슬라프 1세는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독일 왕 하인리히 4세마인츠 궁정을 찾았지만, 하인리히 4세는 즉시 도움을 주지 않고 키예프로 사절을 보내 더 많은 정보를 얻으려 했다.[1] 동시에 이자슬라프 1세는 아들 야로폴크를 로마로 보내 교황 그레고리오 7세의 지원을 요청했다.[1]

2. 5. 세 번째 복위와 죽음 (1077년 ~ 1078년)

1076년 스뱌토슬라프가 사망하면서 이자슬라프는 1077년 7월 15일에 키예프로 돌아와 다시 통치할 수 있었다. 스뱌토슬라프가 죽은 후 체르니히우의 정당한 계승권을 두고 갈등이 벌어졌다. 1078년 4월, 이자슬라프와 브세볼로드는 스뱌토슬라프의 아들 올레크를 몰아냈다. 그해 여름, 노브고로드를 다스리던 올레크의 형제 글레프가 쫓겨나 살해되었고, 이자슬라프의 아들 스뱌토폴크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그러나 올레크는 쿠만족과 그의 사촌 보리스의 지원을 받아 체르니히우를 되찾으려 했다. 올레크와 보리스는 8월에 브세볼로드를 격파했고, 브세볼로드는 이자슬라프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키예프로 돌아왔다. 이자슬라프는 지원 요청에 동의했지만, 1078년 10월 3일 올레크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4] 그는 전투에서 사망한 유일한 키예프 대공이었다.

3. 가족 관계

이자슬라프 1세는 야로슬라프 1세와 스웨덴올로프 솃코눙의 딸인 잉에예르드 올로프스도테르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폴란드 국왕 미에슈코 2세의 딸인 게르트루다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3]

이자슬라프 1세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야로슬라프 1세
어머니잉에예르드 올로프스도테르스웨덴올로프 솃코눙 국왕의 딸
아내게르트루다폴란드 국왕 미에슈코 2세의 딸
장남야로폴크 이자슬라비치
차남므스티슬라프 이자슬라비치노브고로드 공작(1054–1067)
삼남스뱌토폴크 2세키예프 대공
에우프락시아폴란드 국왕 볼레스와프 2세의 아들 메슈코와 결혼


참조

[1]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 서적 A History of Russian Economic Thought: Ninth through Eigh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3-11-15
[3] 서적 The Emergence of Rus 750–1200 Routledge 2013
[4] 서적 The emergence of Rus, 750-1200 Longman 1996
[5] 간행물 Yaroslav the Wise in Norse Tradition
[6] 서적 The age of the Vikings Princeton 2016
[7] 간행물 Les relations diplomatiques entre Bizance et la Russie de 860 à 1043 1983
[8] 간행물 Yaroslav the Wise in Norse Tradition 1929-04
[9] 간행물 Harvard Ukrainian studies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